인스타그램 분석 가이드
Instagram 성장 전략가
2025-11-08

Instagram 팔로워 및 팔로잉 리스트 스크랩 방법: 완벽 가이드

Instagram 팔로워 및 팔로잉 리스트 스크랩 방법: 완벽 가이드

나를 팔로우하는 사람과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의 차이를 이해하면 인스타그램 기본 분석에서는 볼 수 없는 성장 기회, 파트너십 잠재력, 오디언스 품질 신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빠른 내비게이션

팔로워 vs. 팔로잉: 둘 다 중요한 이유 {#followers-vs-following}

대부분의 사람들은 팔로워에만 집중하지만, '팔로잉' 리스트 또한 다양한 이유로 가치가 있습니다.

팔로워 리스트 분석

무엇을 보여주나요: 나를 팔로우하기로 선택한 사람

핵심 인사이트:

  • 오디언스 구성과 인구통계
  • 팔로워의 품질 (봇 vs 실계정)
  • 인플루언서가 오디언스에 있는지
  • 경쟁사와의 중복 팔로워
  • 성장 패턴

주요 활용 예시:

  • 오디언스 이해
  • 참여 기회 확인
  • 팔로워 진짜/가짜 검증
  • 유사 오디언스 광고 타겟 만들기

팔로잉 리스트 분석

무엇을 보여주나요: 내가 직접 팔로우한 계정

핵심 인사이트:

  • 콘텐츠 관심사/선호도
  • 산업 내 네트워크와 관계
  • 경쟁사 연구 (경쟁사는 누구를 팔로우하나?)
  • 잠재적 파트너십 타깃
  • 콘텐츠 영감 및 출처

주요 활용 예시:

  • 내 니치에 맞는 관련 계정 발견
  • 경쟁 관계 분석
  • 협업 기회 탐색
  • 소비하는 콘텐츠 패턴 파악

두 리스트를 비교 분석하는 힘

팔로워와 팔로잉을 동시에 분석하면 더 깊은 인사이트가 도출됩니다.

팔로워/팔로잉 비율:

  • 5 초과: 인플루언서/브랜드 (선별적 팔로잉)
  • 1~5: 일반 활발 유저
  • 0.2~1: 네트워킹 또는 신규 계정
  • 0.2 미만: 맞팔용/스팸 가능성

맞팔 여부: 팔로워/팔로잉 리스트를 비교해서

  • 맞팔 비율: 내가 팔로우한 계정 중 나를 팔로우하는 비율
  • 단방향 팔로워: 나만 팔로우함(슈퍼팬 후보)
  • 단방향 팔로잉: 내가 팔로우하지만 나를 팔로우하지 않는 계정(가치 재검토)

상호 네트워크: 나와 경쟁사가 모두 팔로우하는 계정은 내 업계와 밀접히 관련.

각 리스트가 담고 있는 인사이트 {#what-lists-reveal}

각 데이터 소스에서 얻는 구체적인 인사이트

팔로워 리스트의 인사이트

오디언스 규모 분포: 팔로워를 내보내 분포 계산:

  • Nano(1K-10K): 소비자/마이크로 크리에이터
  • Micro(10K-100K): 확립된 크리에이터, 파트너 후보
  • Macro(100K-1M): 인플루언서, 드물지만 가치 높음
  • Mega(1M+): 연예인/대형 브랜드

예시: 팔로워의 80%가 나노면 대중적, 30%가 마이크로면 크리에이터에 어필.

지역 분포: Bio의 위치 언급 혹은 언어로 파악:

  • "Based in NYC", "London", "São Paulo"
  • Bio 내 언어패턴
  • 타임존 별 활동 (게시물 시간)

니치 일치 여부: Bio 키워드로 검색:

  • 피트니스 브랜드: "health", "wellness", "training"
  • B2B SaaS: "CEO", "founder", "startup"
  • 패션: "style", "fashion", "designer"

참여 가능성: 가장 활발할 팔로워 찾기:

  • 게시물 50개 이상
  • 합리적 팔로워 비율(0.5~5)
  • 완성된 프로필(바이오, 링크, 프로필사진)
  • 최근 활동 지표

팔로잉 리스트의 인사이트

콘텐츠 관심사: 팔로우한 계정=관심사

  • 피트니스 계정 50개→운동매니아
  • 마케팅 블로그 30개→마케터
  • 맛집 20곳→푸디/지역기반

산업 네트워크: 팔로우 중인 계정=프로 네트워크

  • 경쟁사
  • 파트너/클라이언트
  • 업계 리더
  • 보완적 서비스

콘텐츠 출처: 팔로잉=영감 피드

  • 어떤 형식 선호?(릴vs사진)
  • 팔로우할만큼 가치 있는 주제는?
  • 어느정도 자주 올려야 견딤?(일/주 단위)

전략적 관계: 경쟁사 팔로잉에서

  • 배우는 대상
  • 협업 가능성
  • 네트워크의 빈틈(기회)
  • 자주 상호작용하는 계정

데이터 완성도 비교

데이터 항목팔로워 리스트팔로잉 리스트
Username✅ 항상✅ 항상
Bio text✅ 예✅ 예
Follower count✅ 예✅ 예
Following count✅ 예✅ 예
Post count✅ 예✅ 예
Follow date가끔가끔
Engagement❌ 별도 스크랩 필요❌ 없음
Profile picture✅ 예(URL)✅ 예(URL)

두 리스트의 필드는 유사하지만 맥락이 다름. 팔로워 리스트=나를 고른 사람/팔로잉 리스트=내가 고른 사람.

어떤 데이터를 스크랩하기 전 반드시 경계선을 이해하세요.

인스타그램 서비스 약관

인스타그램 TOS는 아래를 금지합니다:

  • 허가 없이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
  • 승인되지 않은 목적의 정보 수집
  •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
  • 플랫폼 기술적 보호 우회

회색지대: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목적 공개 데이터 스크래핑은 업계에 흔하지만, 엄밀히 약관 위반임. 많은 기업은 제한 위험을 감수하고 진행.

가장 안전한 방법:

  • 공식 Data Download(본인 계정만)
  • 수동으로 공개 정보 수집
  • 사람이 하는 행동을 모방하는 속도제한 브라우저 도구
  • 리서치용 세컨 계정 활용(메인 보호)

개인정보 규정

GDPR (EU):

  • 적법한 처리 근거 문서화(비즈니스 정당 이익)
  • 데이터 보관 정책(30-90일 이내 삭제)
  • 삭제 요청 즉시 처리
  • 데이터 보안 철저

CCPA (캘리포니아):

  • 데이터 수집 사실 공개
  • opt-out 메커니즘 제공
  • 데이터 판매 금지
  • 삭제 요청 이행

윤리적 가이드라인

해야 할 일:

  • 공개된 비즈니스/크리에이터 계정 위주 타깃
  • 비즈니스 전략/리서치/파트너십 등 정당한 목적으로 활용
  • 수집 데이터 보안 및 접근 제한
  • 필요 없을 시 데이터 삭제
  • 사용자 삭제 요청 준수

하지 말 것:

  • 접근 권한 없는 비공개 계정 스크랩
  • 스팸/괴롭힘/피해 목적 사용
  • 스크랩한 리스트 판매
  • 여러 소스 데이터 결합해 과도한 프로필 생성
  • 속도제한과 보호장치 무시

테스트: 나의 데이터 활용을 공개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면, 재고해야 합니다.

방법 1: 수동 수집 {#manual-collection}

가장 안전하고 약관 준수인 접근 방법

수동 수집이 적합한 경우

적합:

  • 소규모 프로젝트(20~100개 계정)
  • 맥락적 검토가 필요한 하이밸류 계정
  • 업계 학습 목적
  • 안전, 준법 극대화 원하는 경우
  • 비기술 사용자

부적합:

  • 대규모 분석(1000개+)
  • 시간 촉박 프로젝트
  • 반복 자동화 요구

팔로워 수동 수집 프로세스

1단계: 추적용 스프레드시트 생성

Excel/Google 시트에 다음 컬럼 생성:

  • Username
  • Full_Name
  • Follower_Count
  • Following_Count
  • Post_Count
  • Bio_Text
  • External_Link
  • Account_Type (Personal/Business/Creator)
  • Notes
  • Collection_Date

2단계: 대상 계정 접속

instagram.com/targetusername 방문

3단계: 팔로워 리스트 열기

바이오 아래 "X명의 팔로워" 클릭

4단계: 수작업으로 정보 기록

각 팔로워(또는 샘플)마다:

  1. 팔로워 아이디 클릭→프로필 진입
  2. 관련 필드 복사해 시트에 붙여넣기
  3. 질 평가, 관련성, 참여 징후 등 노트 기록
  4. 팔로워 리스트로 돌아가 반복

팁: 듀얼(2) 모니터 사용: 한쪽=팔로워 리스트, 한쪽=시트

5단계: 샘플링 전략 적용

대형 계정이면 아래 기준:

  • 상위 50명(팔로워 수 기준)=인플루언서
  • 중간 100명 랜덤=일반 오디언스
  • 최근 50명=최근 성장 패턴

팔로잉 수동 수집 과정

동일하나 "X명의 팔로잉" 클릭

추가 분석:

  • 카테고리화(경쟁사/파트너/산업리더/영감용/개인)
  • 맞팔 계정 체크
  • 묶음(예: 10개 이상 SaaS 팔로잉=구매 신호)

소요 시간

계정당:

  • 5~10개: 30분
  • 50개: 2-3시간
  • 100개: 4-6시간

대형 계정(1만 명+):

  • 샘플링: 2-3시간이면 핵심 인사이트 도출
  • 전체: 사실상 불가, 자동화 도구 필요

자동화 전환 시점

'이걸 500개 계정에 하고 싶다'라고 느끼면 브라우저 도구나 API 고려할 타이밍.

방법 2: 브라우저 기반 도구 {#browser-tools}

자동화와 안전의 균형점을 지닌 접근법

브라우저 도구 작동 방식

확장프로그램(Chrome/Firefox/Edge 설치→인스타그램에 기능 추가)

기술 흐름:

  1. 인스타그램 접속, 자주 쓰는 브라우저에서 로그인
  2. 확장프로그램이 'Export' 버튼이나 오버레이 추가
  3. 버튼 클릭 시 프로그램이 팔로워/팔로잉 리스트 자동 스크롤
  4. 화면에 나타난 프로필 정보 추출
  5. CSV 또는 JSON 파일로 정리
  6. 컴퓨터로 다운로드

장점: 내 세션 사용(로그인 정보 제3자 제공 불필요)

추천: Instracker.io

대부분 사용자에게 밸런스 최적함

팔로워용: Instagram Follower Export팔로잉용: Following Export

차별점:

  • 브라우저 세션만 사용(계정 정보 입력 無)
  • 기본 속도제한 안전설계
  • 깔끔한 CSV/Excel 출력
  • 프로필 정보 추가(바이오, 수치, 인증)
  • 건별 과금(구독필수 아님)
  • 내 계정+공개 경쟁사 계정 사용 가능

내보낼 수 있는 것:

  • 모든 팔로워(내계정/공개 타계정 포함)
  • 모든 팔로잉
  • 일부 필터링(팔로워 수/인증 상태 등)
  • Comments Export, Likes Export 활용한 참여 데이터

기타 브라우저 확장 도구

독립 확장프로그램 선호시

선정 기준(✅):

  • 브라우저 로그인 세션만 사용(비번 요구 X)
  • 속도/지연 관련 설명 명확
  • 6개월 이내 업데이트
  • 안전성 후기 우수
  • 투명한 가격($20~$100/월)
  • 문서/지원 확실

피할 것(❌):

  • 인스타 비번 요구
  • '무제한 즉시 스크래핑' 홍보
  • 무료+비즈니스 모델 불분명
  • 계정 차단 후기 다수
  • 업데이트 1년 이상 없음
  • 과도한 브라우저 권한

브라우저 도구 사용 베스트 프랙티스

1. 테스트 계정 시작 2~4주간 세컨 계정 실사용→툴 테스트

2. 점진적 적용

  • 1차: 500~1,000 팔로워 계정
  • 2차: 5,000명 계정
  • 3차: 진짜 타깃 계정
  • 점진적 위험 확인

3. 시간대/간격 준수

  • 한가한 시간(새벽 2~6시) 실시
  • 3~4시간 간격 두고 실행
  • 연속 10계정 이상 금지
  • 주/월 단위가 일 단위보다 안전

4. 경고 모니터링 이상 감지시 즉시 중지:

  • "Action Blocked"
  • "We restrict certain activity"
  • 에러 또는 타임아웃
  • 팔로워/팔로잉 수 안 뜸

5. 안전(느린) 옵션 사용 속도 선택 가능할 시:

  • "Slow/Safe"부터 시작
  • 1~2주 이상 문제 없을 때만 속도↑
  • "Fast/Unlimited" 절대 금지

효율적 두 리스트 내보내기 워크플로우

첫주(1일):

  • 내 팔로워 내보내기
  • 4시간 대기
  • 내 팔로잉 내보내기

3일차:

  • 경쟁사A 팔로워 내보내기
  • 4시간 대기
  • 경쟁사A 팔로잉 내보내기

5일차:

  • 경쟁사B 팔로워 내보내기
  • 4시간 대기
  • 경쟁사B 팔로잉 내보내기

2주차: 데이터 정제/비교/분석 후 추가 진행

방법 3: API와 서비스 {#api-services}

기술 사용자, 대용량 용도용

인스타그램 공식 API

Basic Display API:

  • 내 프로필, 미디어만 접근 가능
  • 팔로워/팔로잉은 제한적(허가 계정만)
  • 본인 콘텐츠 외부 노출용 적합

Graph API(비즈니스):

  • 내가 관리하는 계정 통계
  • 경쟁사 데이터 제한적
  • Facebook 개발자 앱 승인 필요(2~6주)
  • 에이전시 등 대행사 적합

제한점: 공개 경쟁사 팔로워/팔로잉은 공식 API로 불가, 써드파티 써야함

써드파티 API 서비스

방식:

  1. 서비스 가입, API키 발급
  2. 타겟 유저명으로 HTTP 요청
  3. 서버가 스크랩→JSON 반환
  4. JSON 파싱→Excel/DB로 임포트

대표 서비스:

Apify Instagram Scrapers:

  • Actor 기반(모듈형)
  • 건당 과금(1,000개당 $0.1~1.0)
  • 유동량 적합
  • 종류(Profile/Follower/Following Scraper)

RapidAPI Instagram:

  • 프로바이더 다수, 품질 상이
  • 구독제($10~200/월)
  • 품질 확인 필요
  • 반복 자동화에 적합

Bright Data(엔터프라이즈):

  • 신뢰, 준법성 중시
  • 고가($500~5,000/월)
  • 계약 필수
  • 대기업, 미션크리티컬 용도

API 선택 기준

API 추천 조건:

  • 개발 역량 보유(py, js 등)
  • 반복 자동화 필요(주/월)
  • 정기 50계정↑
  • 예산($100~500/월)
  • 인스타 데이터 기반 서비스 구축

브라우저 도구 추천 조건:

  • 비개발자
  • 1회/가끔 필요
  • 예산 $100/월 미만
  • 수작업도 감수

기본 API 활용 예시(Python)

import requests
import pandas as pd

API_KEY = "your_api_key"
API_ENDPOINT = "https://api.service.com/instagram/followers"

def get_followers(username, max_results=1000):
    """Fetch follower list via API."""
    headers = {"Authorization": f"Bearer {API_KEY}"}
    params = {
        "username": username,
        "maxResults": max_results
    }
    
    response = requests.get(API_ENDPOINT, headers=headers, params=params)
    
    if response.status_code == 200:
        return response.json()['followers']
    else:
        print(f"Error: {response.status_code}")
        return []

# Usage
followers = get_followers("nike", max_results=5000)

# Convert to DataFrame and export
df = pd.DataFrame(followers)
df.to_excel("nike_followers.xlsx", index=False)
print(f"Exported {len(followers)} followers")

단계별 스크래핑 절차 {#step-by-step}

두 리스트 모두를 위한 상세 절차 가이드

1단계: 계획 수립(1일차)

목표 정의:

  • 스크랩 데이터로 무엇을 밝히고 싶은가?
  • 어떤 계정이 필요?
  • 내 목표에 중요한 지표는?

인프라 준비:

  • 마스터 Excel 파일 준비
  • 내보내기 폴더 구조 정리
  • 프로세스 문서화

방법 선택:

  • 수동(20~100개, 안전성 극대)
  • 브라우저 도구(100~1,000개, 밸런스 접근)
  • API(1,000개 이상, 반복 자동화)

2단계: 팔로워 리스트 수집(2~3일차)

1단계: 내 팔로워 내보내기

Instagram Follower Export 사용:

  1. 도구 페이지 접속
  2. 동일 브라우저에서 인스타 로그인 확인
  3. 계정명 입력
  4. 전체/샘플 택1
  5. 'Export Followers' 클릭
  6. 완료 대기(1만명 기준 10~30분)
  7. CSV 파일 다운로드

2단계: 경쟁사 팔로워 내보내기

2~3개 경쟁사에 반복:

  • 내 니치 내 직접 경쟁사
  • 지향하는 롤모델 계정
  • 파트너십 후보

간격: 내보내기 사이 3-4시간 이상 대기

3단계: 파일 정리

설명 명확하게 저장:

  • your_account_followers_2025_11_08.csv
  • competitor_a_followers_2025_11_08.csv
  • competitor_b_followers_2025_11_08.csv

3단계: 팔로잉 리스트 수집(4~5일차)

1단계: 내 팔로잉 내보내기

Following Export 사용:

  1. 도구 페이지 접속
  2. 계정명 입력
  3. 내보내기
  4. CSV 다운로드

2단계: 경쟁사 팔로잉 내보내기

2단계 경쟁사 동일. 경쟁사 팔로잉은

  • 배우는 대상
  • 파트너 타깃
  • 콘텐츠 출처
  • 네트워크 자산

3단계: 파일 명확 저장

  • your_account_following_2025_11_08.csv
  • competitor_a_following_2025_11_08.csv
  • competitor_b_following_2025_11_08.csv

4단계: 데이터 클린(6~7일차)

1단계: Excel 임포트

각 CSV마다:

  1. 엑셀 > 데이터 > 텍스트/CSV에서 불러오기
  2. CSV 선택
  3. 구분자(쉼표), 인코딩(UTF-8) 확인
  4. 불러오기

2단계: 중복 제거

  • 전체 선택(Ctrl+A)
  • 데이터 > 중복제거
  • Username 체크
  • 확인 클릭

3단계: 봇 필터

Likely_Bot 컬럼 만들기:

=IF(AND(Follower_Count<100, Following_Count>2000, Post_Count=0), "YES", "NO")

"NO"만 표시

4단계: 계산필드 추가

팔로워 비율:

=Follower_Count / (Following_Count + 1)

영향력 티어:

=IF(Follower_Count<1000,"Nano",IF(Follower_Count<10000,"Micro",IF(Follower_Count<100000,"Mid",IF(Follower_Count<1000000,"Macro","Mega"))))

프로필 완성도:

=IF(Username<>"",20,0)+IF(Bio<>"",40,0)+IF(Link<>"",20,0)+IF(Follower_Count>0,20,0)

5단계: 비교 분석(8~9일차)

여기서 진짜 인사이트 도출—다음 섹션 참고

팔로워 VS 팔로잉 리스트 비교 {#comparing-lists}

두 리스트의 진짜 분석은 여기서 시작

분석1: 팔로워/팔로잉 비율

구하기:

  • 총 팔로워(내보내기 파일)
  • 총 팔로잉(팔로잉 export)
  • 비율=팔로워/팔로잉

해석:

  • 5 초과: 인플루언서/브랜드(선별 팔로)
  • 2~5: 건강한 계정
  • 1~2: 네트워크적 활동 계정
  • 0.5~1: 성장 단계
  • 0.5 미만: 맞팔 위주(지양)

액션: 1미만이면 비활성, 맞팔X 계정 언팔 검토(한 번에 많이 언팔 금물, 제한위험↑)

분석2: 맞팔 찾기

목표: 상호 관게 vs 단방향 분석

방법:

  1. 팔로워 시트 열기
  2. 'Follows_Back' 컬럼 추가
  3. VLOOKUP 활용
=IF(ISNUMBER(MATCH(A2,FollowingSheet!A:A,0)),"YES","NO")

인사이트:

  • YES: 나의 핵심 커뮤니티, 적극 소통 추천
  • NO: 나를 팔로우하지만 내가 팔로우하지 않는 슈퍼팬 후보

맞팔 비율 계산:

=COUNTIF(Follows_Back_Column,"YES") / COUNTA(Follower_List) * 100

기준:

  • 40~60%: 안정적
  • 60~80%: 매우 활발
  • 20~40%: 일방적 영향 Benchmarks:
  • 40-60%: 상호적 참여 양호
  • 60-80%: 커뮤니티 매우 활발
  • 20-40%: 일방적 영향력(브랜드 계정에서 흔함)
  • <20%: 내가 정말 관련 계정만 팔로우하고 있는지 점검

분석3: 내가 팔로우하지만 나를 팔로우하지 않는 계정

목표: 내 참여가치가 있는 계정 vs 언팔 추천 계정 구분

절차:

  1. 팔로잉 엑셀 파일 열기
  2. 컬럼 추가: "Follows_Me_Back"
  3. VLOOKUP 활용하여 해당 팔로잉이 내 팔로워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
=IF(ISNUMBER(MATCH(A2,FollowersSheet!A:A,0)),"YES","NO")

"NO"인 계정 리뷰:

유지(KEEP) 추천:

  • 업계 리더/유명 브랜드(학습, 인사이트)
  • 실제 소통 가능성이 높은 계정(댓글, 커뮤니티 답변 등 활발)
  • 내 콘텐츠 영감이 되는 곳
  • 관계를 쌓고 있는 파트너 후보

언팔(UNFOLLOW) 고려:

  • 비활성계정(6개월 이상 게시물 없음)
  • 전략적 가치 없음
  • 과거 맞팔 목적으로 팔로우한 계정
  • 현재 내 니치, 주제와 무관한 계정

주의: 하루에 수백 개 언팔하면 인스타 계정이 막힐 수 있음. 하루 20-50개씩만 점진적으로 언팔

분석4: 경쟁사 팔로워 중복도 분석

목표: 내 팔로워와 경쟁사 팔로워 겹침 정도 파악

절차:

  1. 내 팔로워 엑셀 파일 열기
  2. 컬럼 추가: "Also_Follows_CompetitorA"
  3. MATCH 함수로 확인:
=IF(ISNUMBER(MATCH(A2,CompetitorA_Followers!A:A,0)),"YES","NO")

경쟁사별로 반복

중복 비율 계산:

=COUNTIF(Also_Follows_CompetitorA,"YES") / COUNTA(Your_Followers) * 100

해석:

  • 10% 미만: 완전히 다른 유저층, 협업 시너지 가능성 높음
  • 10-30%: 일정 부분 겹침, 건전한 경쟁상태
  • 30-50%: 유사성 높음, 직접경쟁 또는 파트너십 기회
  • 50% 이상: 매우 유사, 차별화 필요

액션: 경쟁사 팔로우 목록 중 나의 팔로워가 아닌 계정은 성장 타겟

분석5: 경쟁사는 누구를 팔로우하나?

목표: 파트너십 후보 및 업계 주요 네트워크 파악

절차: 여러 경쟁사 팔로잉 리스트 비교

  1. 2곳 이상 경쟁사가 동시에 팔로우하는 계정 찾기
=IF(AND(
  ISNUMBER(MATCH(A2,CompA_Following!A:A,0)),
  ISNUMBER(MATCH(A2,CompB_Following!A:A,0))
), "MULTIPLE", "ONE")
  1. "MULTIPLE" 값만 필터

이런 계정은:

  • 업계 오피니언 리더
  • 파트너 후보(경쟁사 모두 주시)
  • 콘텐츠 영감 계정
  • 경쟁사들이 이용하는 서비스/업체

액션: 해당 계정 팔로우 및 진정성 있는 참여, 파트너십 탐색

분석6: 팔로워 관심사/콘텐츠 맵핑

목표: 내 팔로워들이 어떤 콘텐츠를 소비하는지 파악

절차:

  1. 팔로워 bio를 텍스트 분석툴/엑셀로 내보내기
  2. bio 키워드 전체 집계
  3. 상위 20~30개 주요 키워드 추출

고급 분석: (더 많은 데이터 필요) 팔로워의 팔로잉 리스트도 내보내서 분석

  • 팔로워들이 어떤 분야/유형 계정 많이 팔로우?
  • 사진 중심 vs 릴 중심 등 콘텐츠 유형 파악?
  • 주된 관심사 키워드는?

인사이트 예시: 내 팔로워 60%가 생산성 앱 계정을 팔로우 → '생산성+워크플로우' 콘텐츠 추천

분석 고급테크닉 {#analysis-techniques}

스크랩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 추출 심화 사례

테크닉1: 팔로워 참여도 스코어링

목표: 내 콘텐츠에 실제로 참여 가능성 높은 팔로워 순위 매기기

스코어 모델:

=
(IF(Follower_Count<10000,30,IF(Follower_Count<50000,20,10))) +
(IF(Follower_Ratio>2,25,IF(Follower_Ratio>0.5,15,5))) +
(IF(Post_Count>50,25,IF(Post_Count>10,15,5))) +
(IF(Profile_Completeness>60,20,10))

세부 기준:

  • 계정 규모(30점): 규모 작을수록 실제 소통률 높음
  • 팔로워비(25점): 비율 높을수록 선별적, 소통가치 높음
  • 포스팅 활동(25점): 게시 잦을수록 실제 사용자
  • 프로필 완성도(20점): 완성도가 높을수록 진짜/활성 유저

총점: 0~100

액션: 점수 내림차순 정렬, 상위 100명=집중 소통/팔로우/댓글/DM 파트너십 우선타겟

테크닉2: 팔로워 품질 점검

목표: 팔로워 중 실제 유저/봇/비활성 비율 체크

주요지표:

봇 비율:

=COUNTIF(Likely_Bot_Column,"YES") / COUNTA(Username_Column) * 100

벤치마크:

  • 5% 미만: 우수
  • 5-15%: 보통/허용
  • 15-30%: 주의 필요 (성장 전략 점검)
  • 30% 이상: 매우 낮음(유입 비정상/봇 의심)

실제 활동계정 비율:

=COUNTIFS(Post_Count_Column,">10", Follower_Ratio_Column,">0.2") / COUNTA(Username_Column) * 100

벤치마크:

  • 70% 이상: 매우 우수/활성
  • 50-70%: 양호
  • 30-50%: 혼합
  • 30% 미만: 품질 취약

액션: 품질 낮으면 해시태그/맞팔 전략 중단, 진짜 팔로워 유입 콘텐츠 집중

테크닉3: 팔로워 유입경로 분석

목표: 신규 팔로워가 어디서 왔는지 파악

방법(월 단위 비교 필요):

1개월차: 팔로워 내보내기 → 'Followers_Nov.xlsx' 저장

2개월차: 팔로워 내보내기 → 'Followers_Dec.xlsx' 저장

비교:

=IF(ISNA(VLOOKUP(A2,Nov_Sheet!A:A,1,FALSE)),"NEW_DEC","EXISTING")

신규팔로워 분석:

  • 팔로워 규모 분포 체크
  • bio 내 키워드 현황
  • 계정 품질점수
  • 경쟁사 동시 팔로우 여부 확인

콘텐츠 상관분석:

  • 12월에 잘나간 게시물은?
  • 유입 해시태그는?
  • 인플루언서 언급/공유여부?
  • 진행한 협업/이벤트는?

인사이트 예: "12월 생산성 리일 바이럴 후 팔로워 +500, 그중 60%가 'remote work' 키워드 보유 → 재택·원격 콘텐츠 생산!"

테크닉4: 인플루언서 우선순위 정하기

목표: 내 팔로워 기반 파트너 후보 랭킹화

기준:

적합도(30점): bio 내 내 니치 키워드 포함 여부

=IF(ISNUMBER(SEARCH("fitness",Bio)),30,IF(ISNUMBER(SEARCH("health",Bio)),20,0))

도달력(25점): 팔로워 규모 조건

=IF(AND(Follower_Count>=10000,Follower_Count<=100000),25,IF(AND(Follower_Count>=5000,Follower_Count<10000),15,5))

참여도(25점): 활동성/비율

=IF(AND(Follower_Ratio>3,Post_Count>50),25,IF(Follower_Ratio>1,15,5))

접근성(20점): 연락수단 보유 여부

=IF(OR(ISNUMBER(SEARCH("@",Bio)),ISNUMBER(SEARCH(".com",Link))),20,0)

총합: 0~100점

액션: 점수순 정렬 후 상위 20~30명 수동 검토, 제휴 제안 outreach

테크닉5: 언팔 결정 매트릭스

목표: 언팔로우 대상을 데이터로 합리적으로 결정

남겨둘 계정(아래 ANY 해당):

  • 맞팔(상호 팔로우)
  • 팔로워 10만↑(업계리더)
  • 최근 30일내 포스팅
  • 내가 최근 소통 경험
  • 전략/제휴 포텐

언팔로우 고려(아래 ALL 해당):

  • 맞팔X
  • 팔로워 1천 미만(단, 지인 제외)
  • 6개월간 게시 없음
  • 내 게시물과 소통 無
  • 전략적 가치X

실제 구현: "Unfollow_Decision" 컬럼 추가

=IF(AND(Follows_Me_Back="NO", Follower_Count<1000, Last_Post_Days>180), "UNFOLLOW", "KEEP")

액션: "UNFOLLOW"만 필터 → 수동 리뷰 → 하루 20~50개만 점진적 언팔

데이터로 실행하는 성장 전략 {#growth-strategies}

분석 결과를 실제 실행으로!

전략1: 타겟 팔로우 · 참여 캠페인

절차:

  1. 경쟁사 팔로워 내보내기
  2. 나를 팔로우 안 한 계정만 필터
  3. 참여 스코어로 우선순위
  4. 상위 200개 선정

캠페인 실행:

  • 200명 팔로우+최근게시물 2~3개 댓글
  • 스토리 공유(적합시)
  • 30일간 팔로우백 비율 추적

기대효과:

  • 25~35% 팔로우백(고퀄)
  • 5~10% 지속 소통(내 게시 좋아요/댓글)
  • 1~3% 파트너십 대화 오픈

전략2: 콘텐츠 테마 최적화

절차:

  1. 내 팔로워 내보내기
  2. bio 키워드 빈도 분석
  3. 상위 5~10개 관심사 군집 추출

콘텐츠 액션플랜:

  • 관심사별 콘텐츠 시리즈 기획
  • 4주간 반응(engagement) 테스트
  • 상위 테마 비중 확대, 약한 테마 축소

예시:

  • 피트니스 팔로워 bio: 요가(40%), 근력(30%), 러닝(25%), 크로스핏(15%)
  • 콘텐츠 비율: 요가 40%, 근력 30%, 러닝 25%, 크로스핏 5%
  • 측정: 테마별 engagement rate
  • 예) 요가 게시물이 2배 반응→요가 비중 50% 확대

전략3: 파트너십 파이프라인 실행

절차:

  1. 내 팔로워 내보내기
  2. 마이크로인플루언서(1~5만, 팔로워비 3↑) 필터
  3. bio/링크에 연락처 있는지 확인
  4. 콘텐츠 정성리뷰
  5. 아웃리치 리스트 구축

아웃리치 단계:

  1. 2주간 팔로우·댓글 등 진정성 교류(요청X)
  2. 진심이 담긴 DM(특정 콘텐츠 칭찬)
  3. 긍정적 답변 오면 콜라보 제안
  4. 먼저 가치제공(제품, 프로모션, 수익쉐어 등)

기대결과: 응답률 2030%, 제휴 실현 1015%

전략4: 팔로워 품질 개선하기

절차:

  1. 현재 봇/품질지표 계산
  2. 저품질 원인 분석(유입경로/해시태그 등)

대표 문제 원인:

  • 특정 해시태그(대중적/봇 많은 것 ex. #love, #followme)
  • 맞팔 전략
  • '좋아요/댓글' 그룹/팟
  • 유입구매(불법)

액션 플랜:

  • 봇 많은 해시태그 사용 중단
  • 맞팔 전략 중단
  • 니치 중심 해시태그 전환(#yogaforbeginners 등)
  • 타겟 맞춤형 콘텐츠 집중
  • 니치 커뮤니티 내 진정한 소통

트래킹: 매월 데이터 재추출·품질지표 점검·개선여부 확인

전략5: 경쟁지형 포지셔닝

절차:

  1. 상위 3개 경쟁사 팔로워 내보내기
  2. 내 팔로워와 중복률 계산
  3. 경쟁사 전용(내 팔로워 아님) 유저 파악

중복율 높음(40%+):

  • 유사 오디언스, 차별 필요
  • 콜라보 중복효과 미미

액션: 더 좁은 서브니치/차별화

중복율 낮음(20% 미만):

  • 동일 주제/시장, 타깃유저는 다름
  • 제휴/콜라보 효과 상승
  • 경쟁사 단독팔로워 타겟가능

액션: 경쟁사 전용 팔로워 내보내기, 상위유저 맞춤 소통, 크로스프로모션 시도

계정 안전 가이드라인 {#safety-practices}

스크래핑 리스크 최소화 방법

속도제한(리밋) 추천

보수적(99% 안전):

  • 1일 2~3계정
  • 시간당 100~200요청
  • 요청간 3~5초 대기
  • 비활성시간(AM 2~6) 내보내기

적당(95% 안전):

  • 1일 5~10계정
  • 시간당 300~500요청
  • 2~3초 대기
  • 일주일 단위 추출

공격적(70~85% 안전):

  • 1일 10계정+
  • 시간당 500+요청
  • 1~2초 대기
  • 매일 추출

추천: 무조건 보수적→2~4주 문제 없을 때만 속도 완화

계정 제약 징후

즉시위험:

  • 좋아요/팔로우/스크랩 중 "Action Blocked" 알림
  • "We restrict certain activity to protect our community" 메시지
  • 팔로워/팔로잉 숫자 노출불가
  • 내보내기 오류 등

조치법:

  1. 즉시 중단(자동화 포함)
  2. 최소 24~48시간 무작동 대기
  3. 스마트폰 공식앱으로 자연스럽게 사용(피드 브라우징, 댓글/좋아요)
  4. 재개시: 이전 대비 50% 속도, 딜레이 더 길게

보조(세컨) 계정 전략

준비:

  1. 새로운 인스타 계정 생성(이메일 별도, 메인과 미연결)
  2. 프사/프로필/5~10개 게시물 등록
  3. 니치 관련 30~50계정 팔로우
  4. 2~4주간 자연 사용(브라우징/좋아요/댓글 등)
  5. 그 후에만 스크래핑 활용

장점:

  • 메인 계정 차단 방어
  • 공격적인 실험 가능
  • 정지돼도 대체 가능
  • 별도 기기/IP 가능

한계:

  • 공개계정만 스크랩 가능
  • 신생계정은 신뢰도 낮음
  • 주기적 실사용 필요

차단 복구 프로토콜

액션블록 발생시:

1일차:

  • 자동화 즉시 중단
  • 모바일 공식앱만 사용
  • 피드/스토리 구경 등 '일상적' 사용
  • 좋아요 1020, 진짜 댓글 35개

2~3일차:

  • 계속 자연 사용만, 자동화/스크래핑 X
  • 무리수 시도X

4일차:

  • 소량 테스트(프로필 2~3명만 방문)
  • 또 차단시 5~7일 추가 대기

7일차 이후:

  • 스크래핑 서서히 재개(50% 이하 속도)
  • 충분한 시간 간격 지키기
  • 경고 재확인

반복차단시:

  • 영구 플래그 우려→세컨 계정으로 연구 전환
  • 메인 계정은 직접(수동)만 사용

흔한 실수/피해야 할 일 {#common-mistakes}

실전에서 자주 하는 실수 정리

실수1: 계획없이 무작정 스크래핑

문제: "써먹을지 몰라" 하며 20개 계정 대량 스크랩

왜 안 좋은가: 위험/리스크↑, 쓸모 없는 데이터, 시간낭비

해결책: 시작 전 명확히 적기

  • 구체적 질문/목적 명시
  • 어떤 결정을 위해 쓰는지
  • 인사이트 활용자/장소
  • 결과 성공지표

실수2: 팔로워 품질 무시

문제: 1만 팔로워 달성 자축, 그중 4천명이 봇임

해악: 잘못된 전략 은폐, 낮은 참여율, 제휴기회 소실

해결책:

  • 분기별 팔로워 품질점검/지표 추출
  • 봇비율/스코어 계산
  • 전략 즉각 조정
  • 명백한 봇은 직접 삭제(설정 > 프라이버시 > 팔로워 삭제)

실수3: 단순 팔로워 숫자만 비교

문제: 인플루언서 협업 때 팔로워 수만 체크

해악: 10만 가짜팔로워 < 1만 진짜 팔로워, 참여율·질 더 중요!

해결책:

  • 후보자 팔로워 리스트도 내보내기
  • 봇비율/참여지수 모두 체크
  • 오디언스/니치 오버랩 확인
  • '수' 보다 '질'에 집중

실수4: 대량 맞팔/언팔 반복

문제: 경쟁사 팔로워 500명/일 팔로우, 48시간 뒤 언팔

해악: 인스타그램 제한규정 위반, 계정평판•노출↓, 저품질 유입, 영구정지 위험

해결책:

  • 하루 20~50명만 팔로우
  • 언팔도 하루 20~30개
  • 언팔 전 최소 몇 주 대기(48시간 X)
  • 진짜 교류하고 싶은 계정만 타겟

실수5: "팔로잉" 리스트 무시

문제: 팔로워만 분석, 내가/경쟁사가 팔로우한 계정 분석 X

해악: 원천 정보/콘텐츠 소스, 파트너십 단서, 전략관계 놓침

해결책:

  • 항상 followers + following 모두 내보내기
  • 경쟁사 팔로잉 분석(전략 추정, 파트너 단서)
  • 내 팔로잉도 분기별 점검(실질적 가치 있는 계정?)

실수6: 단 1번 분석만 하고 끝

문제: 한번만 데이터 내보내기/분석

해악: 오디언스 조성 지속 변화, 추세 파악 실패

해결책:

  • 매월 정기 내보내기(캘린더 알림)
  • 전월 대비 전수비교
  • 품질지표 변화 추이 체크
  • Instagram Followers Tracker 활용

실수7: 데이터 보안/관리 부실

문제: 내보내기 파일 무방비 저장, 이메일 공유(암호화X)

해악: 개인정보/개인정보법 위반, 신뢰/명성 하락

해결책:

  • 엑셀 파일 암호설정
  • 민감데이터 암호화 저장
  • 접근인원 최소화
  • 30~90일 후 파일 삭제

실제 활용 사례 {#use-cases}

실제 기업/창작자가 followers+following 분석 활용

사례1: SaaS 기업 경쟁정보

기업: 에이전시용 프로젝트 관리툴

목표: 경쟁지형/파트너십기회 파악

과정:

  1. 경쟁 5개툴 팔로워(2~8만) 내보내기
  2. 동일 5개툴 following도 내보내기
  3. 내 팔로워와 경쟁사 팔로워 중복률 계산
  4. 경쟁사 following 분석(업계리더/잠재 파트너)

주요 발견:

  • A사와 25% 팔로워 중복(직접경쟁)
  • B사와는 8%밖에 안 겹침(서브니치 다름)
  • 모든 경쟁사 12개 산업 블로그를 공동팔로우(인플루언서 타겟)
  • 경쟁사 팔로워 bio에 "freelance"(45%) "agency"(35%) 다수

취한 액션:

  • B사와 콜라보(로우오버랩=오디언스 확장)
  • 12개 블로그 인플루언서 직접 아웃리치
  • 콘텐츠 메시지 "프리랜서/에이전시 페인포인트" 강화
  • A사 팔로워 타겟 광고 진행(인지도/고관여 타겟)

성과: Q4 35% 팔로워 성장, 인플루언서 제휴 12건, 트라이얼 신청 18% 증가

사례2: 패션 인플루언서 파트너 엄선

기업: 친환경 패션 브랜드

목표: 80,000달러 캠페인 전 30명 인플루언서 정밀 검증

과정:

  1. 30명 후보 인플루언서 팔로워 내보내기
  2. 팔로워 품질(봇률/참여점수) 분석
  3. 후보자 팔로잉 내보내기(관심사/기존제휴 파악)
  4. 후보간 팔로워 겹침도 체크(중복 과다 집행 방지)

주요 결과:

TierInfluencersAvg FollowersBot %Quality ScoreRecommend
A872K7%82/100
B1258K15%68/100고민
C791K34%45/100NO
D3125K48%32/100절대 X

팔로잉 분석 인사이트 추가:

  • A등급 인플루언서=실제 친환경 브랜드 다수 팔로우+환경계정 팔로움
  • C/D등급=성장꾼/인스타유명인 팔로우(경고)
  • 6명은 팔로워 50% 이상 겹침(중복오디언스)

최종 액션:

  • A등급 8명만 선정
  • 예산 절반 상위 3명, 나머지 5명 분배
  • C/D등급 봇 데이터 근거로 일부 단가 네고
  • 하위등급 미선정으로 약 2.8만불 예산 절감

성과: 90만명이 아닌, 실제 48만명 '진짜 팔로워' 타겟 도달. 1.25만 사이트방문, 1,850건 구매(31.5만불 매출), ROI 625%(예상 180% 대비)

사례3: 크리에이터 니치 전환

개인: 개발 유튜버→생산성 크리에이터로 피봇

목표: 기존 vs 타겟 오디언스 정밀분석

과정:

  1. 내 팔로워(4.5만) 내보내기
  2. bio 키워드/유형 분석
  3. 생산성 인기 크리에이터 10명 팔로워 내보내기
  4. 겹치는 "교량 오디언스" 파악

핵심 결과:

  • 기존팔로워 70%: 개발・코딩 키워드
  • 타겟 60%: 생산성/창업/원격워커 등
  • 오버랩: 내 팔로워 18%가 생산성계정도 팔로우(=교량)
  • 교량오디언스가 비교 대상 대비 참여 2.5배↑

피봇 전략:

  • "개발자를 위한 생산성" 시리즈 런칭(양쪽 동시 대응)
  • 자동화/코딩 생산성 툴 등 연결포인트 활용
  • 교량오디언스 위주 집중 소통(댓글, 콘텐츠공유)
  • 6개월간 생산성 콘텐츠 비중 10→50% 점진 확대

성과: 팔로워 4.5만→7.8만(6개월), 이탈율 15%로 최소화, 참여율 3.2→5.1%↑, 니치소구 성공

FAQ: 팔로워/팔로잉 스크래핑 {#faq-scraping}

Q: follower와 following 리스트 스크래핑, 즉 두 리스트 분석의 차이는?

A: follower: 나를 팔로우하는 계정(즉 '오디언스'), following: 내가 선택해 팔로우한 계정(내 관심, 인맥, 정보루트). 팔로워는 '관객구성' 파악, 팔로잉은 '내/상대방 관심분야' 분석에 적합합니다.

Q: 비공개 계정 팔로워도 스크랩 되나요?

A: 해당 계정 팔로워 승인 상태이어야 가능. 그마저도 대부분 툴은 비공개 계정엔 제한. 공개계정 위주로 분석, 개인정보 우회 금지.

Q: 계정이 막히지 않으려면 얼마나 자주 추출해야 하나요?

A: 보수권장 — 하루 23개 계정, 몇 시간 간격 두고 추출, 같은 계정은 월 1회 정도만. 새벽(26시), 보수적 속도 추천.

Q: 누가 내 follower 리스트를 스크랩해도 알 수 있나요?

A: 아님. 스크래핑은 읽기만 할 뿐, 상대에게 알림이 안 감/흔적남지 않음.

Q: 좋은 follower : following 비율이란?

A: 계정 종류별로 다름

  • 브랜드/인플루언서: 5:1 이상(선별적 팔로잉)
  • 개인: 1:1~3:1(균형)
  • 성장중: 0.5:1~1:1(네트워크 단계)
  • 주의: 0.3:1 미만(욕심/스팸 느낌)

Q: 나를 맞팔 안한 계정은 무조건 언팔해야 할까?

A: 전략적 가치 기준 유지

  • 업계리더/유명브랜드(학습)
  • 파트너 후보(관계 구축)
  • 영감계정 등은 KEEP

비활성/전략가치X/과거 맞팔용만 언팔, 언팔도 하루 20~50개 이내

Q: 두 리스트를 동시에 내보낼 수 있나요?

A: 대부분 툴은 각각 따로 추출. follower 내보내고 3~4시간 후 following 추출. Instagram Follower Export, Following Export 따로 추출→분리 저장 권장

Q: 월단위 자동 추출·트래킹 가능?

A: 일부 API 서비스 가능하나 세팅 복잡. 대부분은 Instagram Followers Tracker 사용, 월 1회 수동 추출&분석이 더 안전

실행 체크리스트 {#implementation}

실전 단계별 액션 플랜

1주차: 인프라 준비/기초 분석

☐ 1일: 목표 정의

  • 답하고 싶은 구체적 질문 3가지
  • 분석계정 5~10개 선정(내/경쟁사)
  • 스크래핑 방식 선택(수동/툴/API)

☐ 2일: 인프라 구성

  • 엑셀/구글시트 마스터파일 생성
  • 내보내기 폴더구조 정리
  • 툴테스트(소규모 계정서 시험)

☐ 3일: 첫 데이터 추출

  • 내 팔로워 내보내기
  • 내 팔로잉 내보내기
  • 엑셀 임포트/원본 데이터 구조 파악

☐ 4일: 기초 클린업

  • 중복제거
  • 계산필드(비율, 등급, 완성도)
  • 명백한 봇 필터

☐ 5일: 1차 분석

  • 팔로워:팔로잉 비율 계산
  • 상위 20명 소통 우선순위 추출
  • 팔로워 bio 키워드 분석

2주차: 경쟁사 분석

☐ 8일: 경쟁사 팔로워 내보내기

  • 23개 경쟁사 추출, 34시간 간격

☐ 9일: 경쟁사 팔로잉 내보내기

  • 위와 동일, 파일명 명확

☐ 10~11일: 일괄 정리/클린업

  • 모든 데이터 동일 방식 정제
  • 포맷 완전 통일

☐ 12일: 비교분석

  • 경쟁사와 오디언스 중복률 분석
  • 경쟁사 팔로워 중 내 팔로워X 계정 분석
  • 경쟁사 팔로잉 내 인사이트(파트너 등)

☐ 13~14일: 핵심전략 도출

  • 5~10개 주요 인사이트 문서화
  • 우선순위 액션 플랜
  • 팀/관계자 공유

3주차: 실행/캠페인

☐ 15~17일: 타겟 소통 캠페인

  • 상위 100~200개 타겟 계정 선정
  • 팔로우+의미 있는 댓글
  • 콘텐츠 공유

☐ 18~19일: 콘텐츠 전략 보정

  • bio 키워드 기반 테마 재편
  • 콘텐츠캘린더 반영
  • 새 포맷/주제도 테스트

☐ 20~21일: 파트너십 아웃리치

  • 잠재 제휴 파트너 20~30명 리스트업
  • 연락처 등 리서치
  • 맞춤 DM/제안서 작성

4주차: 품질개선/지표추적

☐ 22~24일: 팔로워 품질 개선

  • 현실 품질 저조시 해시태그/맞팔 등 전략 수정
  • 고품질 팔로워 타겟 콘텐츠 집중

☐ 25~26일: 팔로잉 리스트 점검

  • 내가 팔로우 중인 계정 환류/점검
  • 불필요/비활성 50~100개 선정, 점진 언팔

☐ 27~28일: 월간 추적 환경 구축

매월 반복:

☐ 1주: 팔로워/팔로잉 재추출

  • 전월 대비 변경사항(신규/이탈 등) 비교

☐ 2주: 분석업데이트

  • 품질점수, 참여지수, 오버랩 등 변화 체크

☐ 3주: 데이터 기반 전략보정

  • 새 전략/액션 테스트

☐ 4주: 학습 공유/정리

  • 주요 배운점 문서화, 다음달 준비

실전 행동요청

피상적인 follower값 이상을 진짜로 이해하고싶다면! 지금 바로 내 팔로워/팔로잉 리스트부터 내보내보세요

필수 툴:

가장 쉽게 시작:

  1. 내 팔로워 내보내기
  2. 기본지표(품질점수, 참여잠재력) 산출
  3. 상위 20명 집중 교류
  4. 이번주 꼭 실전 액션 한가지 실행

관련 가이드북:

Instracker.io 방문 — 합법적, 사용성 좋은 인스타 데이터 추출 및 분석 도구


컴플라이언스 리마인더: 오직 공개계정만 스크래핑하세요. 인스타그램 속도/배포 규정 엄수. 추출 데이터 암호화 필수. 30~90일내 삭제. 유저삭제/프라이버시 요청 즉각 반영. 인스타 TOS 및 개인정보법(GDPR, CCPA 등) 수시 점검